New & Hot

New & Hot
심상준 교수, IBA 어워드 (Distinguished Scientist Award) 수상
심상준 교수, IBA 어워드 (Distinguished Scientist Award) 수상 ​우리 학과의 심상준 교수가 지난 5월 2일 말레이시아 미리(Miri, Malaysia)에서 개최된 IBA (International Bioprocessing Associati..
관리자2019-05-06341
이기봉 교수, 과학기술 정보통신부장관 표창장 수상
​​이기봉 교수님이 분리기술을 이용한 에너지 및 환경 분야에서 15년 이상 새로운 소재 및 공정 개발에 매진하여 흡착부과반응이라는 융합기술을 개척하고 온실가스 저감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지난 4월 22일 제52회 과학의 날 기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표창을 수..
관리자2019-05-02551
심상준 교수, 과학기술훈장 '도약장' 수상
심상준 교수, 과학기술훈장 ‘도약장’ 수상​정부는 과학의 날(21일)과 정보통신의 날(22일)을 맞아 22일 '2019년 과학·정보통신의날기념식'을 열고 훈포장 및 표창을 시상했다.심상준 교수는 미세조류의 광합성 효율의 증대와 실증 수준에 이르는 배양 기술, 초고민감도..
관리자2019-04-30582
이지원 교수, 메탄가스를 메탄올로 변환시키는 효소 나노입자 개발
메탄가스를 메탄올로 변환시키는 효소 나노입자 개발 메탄가스로부터 메탄올을 손쉽게 생산하는데 꼭 필요한 소재 개발 국제학술지 ‘네이처 카탈리시스(Nature Catalysis)에 게재 이지원 교수(고려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과) 연구팀은 메탄산화세균에서 ..
관리자2019-04-02963
바이오융합 금 나노입자 이용, 암세포 유전자 초고속 진단기술 개발
​바이오융합 금 나노입자 이용, 암세포 유전자 초고속 진단기술 개발- 심상준 교수팀 유전자 변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하는 바이오센서 개발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게재돼 - ▲ 심상준 교수(교신저자, 왼쪽), 마흥의(Xingyi Ma) 박사(제1저자, 오른쪽) ..
관리자2019-02-27714
심상준 교수, Bioresource Technology 편집위원으로 위촉되다
​ 심상준 교수, 바이오에너지 최고 권위 국제학술지(Bioresource Technology) 편집위원 위촉​우리 학과 심상준 교수가 올해부터 Elsevier에서 발간하는 SCI 등재 국제학술지이자 바이오에너지 분야에서 최고 권위(상위 6%) 저널인 바이..
관리자2019-01-14554
EBS '학과 Tip 진로 Talk'에서 고대 화공생명공학과 집중조명
2018.12.04. EBS “학과 Tip 진로 Talk"에서 화학공학이라는 학문과 진로를 고등학생들에게 소개하다.학과 Tip 진로 Talk '화공생명공학과' 12월 4일 방송 다시보기
관리자2018-12-08800
임상혁 교수, 2018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로 선정되다
임상혁 교수, 2018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HCR 1%)로 선정되다.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임상혁 교수님이 2018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Highly Cited Researcher 1%)로 선정되었습니다.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관리자2018-11-291227
양대륙 교수, 2018 한국화학공학회 박선원학술상 수상
양대륙 교수님이 지난 10월 26일 한국화학공학회에서 주최한 가을 총회 및 학술대회에서 박선원 학술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지난 10월 24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된 한국화학공학회 2018년도 가을 총회 및 학술대회에선 뛰어난 연구 성과 및 화학공학의 발전에 기여한 회원들에..
관리자2018-11-14459
조진한 교수, 고성능 생체연료전지 개발
고려대 조진한 교수· 조지아텍 이승우 교수, 고성능 생체연료전지 개발 면섬유에 금 나노입자 코팅해 체내 의료기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돼 고려대 조진한 교수와 미국 조지아텍 이승우 교수가 면섬유에 금속 나노입자를 코팅한 뒤 생체 효소를 넣어 생체에 이식할 수 있..
관리자2018-11-061163
심상준 교수, 한국바이오칩학회 2019년도 수석부회장 당선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심상준 교수님께서 한국바이오칩학회 2019년도 수석부회장에 당선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2019 수석부회장 당선 공지 한국바이오칩학회 회원여러분께 2019년도 한국바이오칩학회 수석부..
관리자2018-10-08390
이관영 교수, 한국화학공학회 2019년도 수석부회장, 2020년 회장 당선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이관영 교수님께서 한국화학공학회 2019년 수석부회장, 2020년 회장에 당선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 한국화학공학회 차기 수석부회장 선거 결과 알림 ------------ 2018.8.23(목)부터 9.6(목)까지 실시..
관리자2018-09-21666
오민규 교수, 2018년도 3차 바이오 의료기술개발사업 과제에 선정
오민규 교수, 2018년도 3차 바이오 의료기술개발사업 과제에 선정 오민규 교수는 한국연구재단에서 공모한 산업미생물 시스템 재설계 원천기술 개발 과제에 "방선균 산업 미생물 시스템 재설계 원천기술 개발 및 고부가 의약물질 생산"이라는 제목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이 과제..
관리자2018-09-21607
이지원 교수, 한국생물공학회 2019년도 수석부회장, 2020년 회장 당선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이지원 교수님께서 한국생물공학회 2019년 수석부회장, 2020년 회장에 당선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2019년도 한국생물공학회 수석부회장 당선자 공고 한국생물공학회 회원님께,2019년도 한국생물공학회 수석부회장 선거 개표결과 고려대학교 화공생..
관리자2018-09-18407
심상준 교수 연구팀 ‘혈액 기반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단 원천 기술’ 대규모 기술이전 및 후속 임상연구를 위한..
심상준 교수 연구팀 ‘혈액 기반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단 원천 기술’ 대규모 기술이전 및 후속 임상연구를 위한 연구비 지원받아 심상준 교수 연구팀이 혈액 내에 존재하는 알츠하이머 발병인자를 다중 검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국내 바이오 플랫폼 기업 ㈜ 코디엠의..
관리자2018-09-10633
임상혁 교수 연구팀, '방사능 피폭 걱정' 줄일 엑스레이 기술 개발
임상혁 교수 연구팀, 고성능 페로브스카이트 나노 섬광체 활용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 임상혁 교수 연구팀이 방사능 피폭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해상도 엑스선 영상 기술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엑스선은 의료용 영상 진단, 산업용 비파괴 검사, 결정 구조 분석 등..
관리자2018-09-04578
안동준 교수, 나노코리아 2018 어워드 수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연구혁신 부문) ▲안동준 고려대학교 KU-KIST융합대학원 및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과 교수안동준 교수는 광기능 및 전기전도성 π-유기물질의 표면현상분석과 분자조립기술을 개척했으며, 나노바이오기술 분야에서 화학물질과 바이오물질간 계면형성에 대..
관리자2018-07-11679
임상혁 교수,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 개발사업 지원사업에 과제 선정
임상혁 교수, 산업통상자원부의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 개발 사업 지원 과제에 선정되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30년 20% 확대’ 목표를 달성함과 동시에 온실가스 저감 및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에너지 저소비형 사회구조 전환과 신산업 창출에 기여하기..
관리자2018-06-06944
김종엽 교수, The 7th Pacific Rim Conference on Rheology(PRCR)에서 P..
​​ 2018.6.10~15에 제주도에서 개최되는 The 7th ​Pacific Rim Conference on Rheology에서 우리 학과 김종엽 교수님이 Plenary Speaker로 선정되셨습니다. ​Pacific Rim Conference on Rheolog..
관리자2018-05-17671
최정규 교수,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이산화탄소 분리성능 향상기술 개발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이산화탄소 분리성능 향상기술 개발최정규 교수팀, ​재료화학분야 국제학술지 Chemistry of Materials 논문 게재이산화탄소 배출 관련 산업에 적용 가능최근 최정규 교수팀이 *제올라이트 소재로 한 분리막의 이산화탄소 분리 성능을 효과적으로 ..
관리자2018-05-16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