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내용(크로스리스팅)
전공과목에 있어 학생들의 수강선택권을 확대하고자, "에너지신산업 융합전공"의 전공과목 5개를 본 학과의 전공선택으로 인정함. 단, 이중 최대 6학점까지만 본 학과의 학점으로 인정가능.
해당 개편은 모든 학번에 소급적용하며, 2023년도 이전에 이수한 것에 대해서도 인정 가능.
과목명 |
교수요목 |
태양에너지공학 (NEIK411) |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직접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에 관한 이론 습득 및 현재 상용화된 실리콘 태양전지와 차세대 태양전지 연구동향 파악과 실험실습을 통한 구조 및 공정기술 이해 |
차세대에너지저장변환공학 (NEIK422) |
미래사회의 인간형 로봇, 드론, 전기자동차 등의 전자기기의 전력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차세대 파워소스를 소개하고 구동 원리와 응용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차세대 이차전지, 연료전지 등 다양한 파워소스의 요소기술을 파악하고, 응용에 있어 발생하는 기술적 이슈와 잠재성(향후전망)에 대해 학습한다. |
에너지환경기술 (NEIK242) |
본 교과목은 인간사회에서 에너지와 재화의 남용이 초래한 기후위기에 대응하며 지속 가능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지구에 부정적 파급효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환경관리기술과 신재생에너지 활용기술을 개론 수준에서 강의한다. |
화학적에너지수송 (NEIK332) |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기반으로 생산된 에너지를 화학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이론, 적용 가능한 화학적 수송 매체의 종류 및 특성, 수송 시 고려해야할 사항을 다룬다. 환경오염 문제, 에너지 자원의 지역적인 편중으로 인한 수급불안 문제 및 에너지 자원의 고갈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화학적에너지수송 기술을 이해하고 적용가능한 지식을 습득한다. |
에너지저장소재설계 (NEIK321) |
실생활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에너지저장기기(리튬이온이차전지 및 슈퍼커패시터)의 기본원리를 학습하고 핵심구성 소재에 대해 이해한다. 이를 통해 에너지저장기기의 원리와 응용분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개발되고 있는 연구 방향의 흐름을 이해한다. |
※ 자세한 강의내용은 첨부된 강의계획안 참조 요망
□ 학점인정 절차 학점을 인정받고자 하는 학생은 재학기간 중 마지막 학기에 신청서 양식을 작성하여 제출함. 이때, 인정받고자 하는 학점을 최대 6학점(수업 2개)까지 정할 수 있음. 신청서를 제출한 과목에 한해서만 이수구분이 화공생명공학과 전공선택으로 변경됨. 신청서 양식은 2023년 3월 1일이후에 업로드 예정이며, 접수도 그 이후에나 가능합니다.
* 신청시기: 졸업전 마지막 학기 중(재학 중 한번만 허용) * 신청방법: 화공생명공학과 행정실(신공학관 834호)로 신청서 방문 제출
FAQ. 1. 해당 과목들을 이수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학점 산입이 되는것 아닙니까?
: 아닙니다. 신청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전공선택이 아닌 일반선택 학점으로만 분류됩니다. 2. 저는 2023년 2월 졸업예정자입니다. 지금 신청서를 제출하고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까? : 위 개편내용은 2023년 전공 교과개편으로 2023년 3월 1일자부터 소급하여 효력이 발생됩니다. 따라서 신청서는 그 이후부터나 접수가능하며, 따라서 2023년 2월 졸업하는 학생은 해당과목들에 대해 '전공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없습니다.
3. 2023-1학기 위 과목들의 개설현황이 궁금합니다. : 태양에너지공학(임상혁), 차세대에너지저장변환공학(유승호), 에너지환경기술(이기봉), 화학적에너지수송(강정원). 이렇게 4개 과목은 에너지신산업융합전공에서 2023-1학기 개설예정입니다.
4. 6학점을 초과하여 에너지신산업 융합전공 과목을 이수한 경우에는 학점 인정이 어떻게 되나요? : 본인이 신청서에 적시한 과목 6학점만 화공생명공학과 '전공선택'으로 이수구분이 변경되며, 나머지 과목들은 '일반선택'으로 총 학점에 산입됩니다.
□ 에너지신산업 융합전공이수자(1전공은 화공생명공학과)에 대한 추가 안내
학점인정은 융합전공이수자도 동일하게 신청 가능함. 본교에서는 융합전공에 대해 30학점 이상을 초과하는 학점에 대해서는 1전공 교과목과 중복인정이 가능함을 규정하고 있음. ※ 참고 ‘에너지신산업 융합전공’의 전공 요구학점은 36학점(전필 3학점/전선 33학점) 크로스리스팅이 허용된 위 5개 과목들 모두 ‘에너지신산업 융합전공’에서 전선으로 분류
화공생명공학과가 1전공인 에너지신산업 융합 전공이수자도 신청서를 제출하면 30학점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 최대 6학점까지 양쪽에서 전공학점으로 중복인정이 가능.
화공생명공학과 행정실 02-3290-46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