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 Hot

New & Hot
김중배 교수, 7월 “이달의 산업기술상-신기술부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
김중배 교수, 7월 “이달의 산업기술상-신기술부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주최: 산업통상자원부주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공학한림원후원: 한국경제신문사​친환경 효소로 대규모 CO2 저감 기술 개발​​‘제19회 이달의 산업기..
관리자2018-05-04821
강정원 교수, 과학의 날 국무총리 표창 수상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강정원교수 (사진)가 지난 2018년 4월 20일 행사에서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 및 진흥에 기여한 공로로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강정원 교수는 열역학 물성 데이터베이스의 개발과 보급의 공로로 표창을 받았다.
관리자2018-04-24586
신공학관 "이원교 강의실" 현판식
신공학관 “이원교 강의실” 현판식​​지난 2018년 3월 23일 금요일. 신공학관 B101호 강의실 앞에서 화학공학과 63학번 졸업생인 이원교 선배님의 현판식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날의 현판식에는 정진택 공과대 학장님, 오민규 학과장님과 송상호 교우회장님을 비롯하여 수많..
관리자2018-03-26699
심상준∙봉기완 교수 외 공동 역서 『생체공학-의학과 공학의 만남』 출판
심상준∙봉기완 교수 외 공동 역서 『생체공학-의학과 공학의 만남』 출판 ​소개글생체공학(Biomedical Engineering)은 다양한 정의가 가능하겠지만 가장 넓은 의미로는 인간의 질병을 고치는 데 기여하는 모든 과학기술을 총칭한다. 최근 여러 이공계 학문..
관리자2018-03-19730
QS 2018 세계대학평가에서 고대 화공생명공학과가 43위
기초과학 분야 세계 벽 높아… 화학·물리학, 서울대 체면치레자연과학 학부 톱50 2곳 뿐… 일본은 도쿄대 등 6개대 올라공대는 카이스트 15, 서울대 16위… 문과, 서울·연세·고려 상승세 수학·생명과학(생물학)·물리·화학 등 기초과학 분야에서 세계 '톱(top) 50..
관리자2018-03-022052
임상혁 교수, 2025년 대한민국 100대 미래 기술의 차세대 주역으로 선정
화공생명공학과 임상혁 교수가 공학한림원의 2025년 대한민국 산업을 이끌어나갈 ‘100대 미래기술’의 차세대 주역으로 선정됐다. 공학한림원은 산학연 최고전문가 120명으로 미래기술기획 TF팀을 구성, 2017년 3월부터 10개월간 2025년 국가발전 비전과 목표 달성..
관리자2018-01-29603
봉기완 교수, 한국바이오칩학회 신인학술상 수상
봉기완 교수님, 한국바이오칩학회 신인학술상 수상 봉기완 교수님이 2017년 11월10일 부산에서 개최된 한국바이오칩학회 가을 총회에서 신인학술상을 수상하셨습니다. ‘신인 학술상’은 바이오칩 관련 주제에 관하여 우수한 연구를 수행한 만 40세 이하의 회원에게 수여되..
관리자2018-01-05513
강정원 교수, 2017년도 전통 화학공학 특별상 수상
강정원 교수님, 2017년도 전통 화학공학 특별상 수상강정원 교수님이 2017년 10월 26일 한국화학공학회 2017년도 가을 총회 및 학술대회에서 전통 화학공학 특별상을 수상하셨습니다.전통 화학공학 특별상은 한국화학공학회에서 전통 화학공학 분야를 장려하기 위한 것으로..
관리자2018-01-05447
임상혁 교수, 2017 기후변화대응 대표기술 10선에 선정
임상혁 교수, 2017 기후변화대응 대표기술 10선에 선정 임상혁 교수님이 “고효율 고내구성 Pb-free 친환경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원천소재 및 소자 기술개발”이라는 연구 성과로 2017 기후변화대응 대표기술 10선에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하였습..
관리자2018-01-05406
조진한 교수, 유연하고 효율높은 종이 슈퍼커패시터 개발
한미 공동연구팀, 유연하고 효율 높은 종이 슈퍼커패시터 개발고출력, 대용량 플렉시블/웨어러블 소자 플랫폼 제공 기대전통 한지를 이용해 대용량 종이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 조진한 교수 연구팀과 미국 조지아텍 이승우 교수 연구팀이 종이..
cbe2017-10-20812
심상준 교수, 9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9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금속 나노입자의 크기와 모양을 제어할 수 있는 합성기술을 개발해 우리나라 나노 연구의 역량을 높이고 산업 발전의 기반을 강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9월 수상자로 심상준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6일 밝..
cbe2017-10-20285
김승욱 교수, 인도네시아 WCP 프로그램 선정 및 ITS대학교 방문교수로 강의
김승욱 교수님은 2017년 인도네시아 정부의 연구기술 및 고등교육부에서 주관하는 WCP(World Class Professor)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약 한 달동안(8월) 수라바야 ITS(Institut Teknologi Sepuluh Nopember)대학교에서 방문교수..
cbe2017-10-20297
고려대 이지원 교수 연구팀, 초상자성 금-단백질 나노입자 융합체 개발
암 진단·치료 동시 가능성 열다 암세포 특이적인 결합기능 갖는 초상자성 금-단백질 나노입자 융합체 개발체내 독성/부작용 없는 암 동시 진단·치료 기능성 항암제고려대학교는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과 이지원 교수(55, 사진) 연구팀이 암 세포 표적 지향기능을 갖는 단백질 나..
cbe2017-10-20886
안동준 교수, 2017년도 미래소재 디스커버리사업 신규 연구단 선정
안동준 교수님이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주관하는 2017년도 미래소재 디스커버리사업 신규 연구단에 선정되었습니다. 안동준 교수님의 연구팀은 DNA 나노구조체 기반 결빙제어 소재 개발이라는 과제로 연구를 수행하게 됩니다.
cbe2017-07-31594
세계적 석학 Timothy P. Lodge 초청 세미나!!!
​화공 정통 명문 University of Minnesota의세계적 석학 Timothy P. Lodge 초청 세미나!!!간단한 이력 소개 : 1982- Professor, Department of Chemistry, University of MinnesotaAmeric..
cbe2017-07-31343
이지원 교수, 바이오 · 의료기술개발사업 신규 과제에 선정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와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미래창조과학부에서는 신약, 줄기세포, 유전체, 의료기술 등 미래 유망 바이오기술 분야의 원천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바이오 의료기술 개발사업에 고려대학교 이지원 교수님이 선정되었습니다. 이지원 교수..
cbe2017-07-31587
이관영 교수, 과학기술훈장 '도약장' 수상
이관영 교수님이 2017.4.21. 열린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과학기술훈장 ‘도약장’을 받으셨습니다. 과학기술훈장은 과학기술·정보통신 진흥 유공자에 대한 정부포상을 통해 사기를 진작하고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을 통한 국가발전 의지를 다지기 위해 2001년부터 신설..
cbe2017-07-31607
이관영 교수, 고려대학교 부총장 임용식
이관영 교수님이 고려대학교 부총장으로 임명되셨습니다. 고려대학교에는 총장님 밑으로 교육부총장, 연구부총장, 세종부총장, 의무부총장. 이렇게 총 4명의 부총장님들이 계시는데요, 이관영 교수님은 이 중 하나인 "연구부총장"을 역임하시게 되었습니다. 이는 학교 내 각종 연구..
cbe2017-07-31922
2017 QS 세계대학평가에서 고대 화공생명공학과가 43위!
종합사립대학 중 고대가 최다 학문 분야 최상위권 진입8개 분야 1~50위권, 전년 대비 대폭 증가 영국 글로벌 대학 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3월 8일 발표한 ‘2017 세계대학평가 학문분야별 평가’에서 본교가 전체 46개 세부전공 평가 ..
cbe2017-07-31304
김승욱 교수 '2016 한국 생물공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국제 심포지엄’에서 학회 공로상, BBE 우수논문..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김승욱 교수는 지난 10월 12-14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2016 한국 생물공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국제 심포지엄’에서 학회 공로상, BBE 우수논문상, 양정당(養正堂) 국제교류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김승욱 교수가 생물공학자..
cbe2017-07-3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