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 Hot

New & Hot
工學교육 방향, 産・學・政 함께 정하자
cbe2017-07-31247
김지현 교수팀, 30㎝ 실리콘웨이퍼에 그래핀 직접 성장시키는 기술 개발 (2015-08-04)
고려대 김지현 교수 "기존 장비 활용 가능…그래핀 산업화 앞당겨" (대전=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국내 연구진이 반도체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대면적 실리콘 웨이퍼 위에 미래 신소재로 주목받는 그래핀 박막을 직접 손쉽게 생성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고려대 화공생명공학..
cbe2017-07-31590
미래부 고려대, 특허권 기술이전
cbe2017-07-31241
2015년 QS 세계대학평가에서 화공생명공학과 세계 48위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4/29/2015042900191.html 영국의 대학 평가 기관 QS가 4월 28일 발표한 '2015 세계 대학 평가 학과별 순위'에서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가 세계 48위
cbe2017-07-31702
고대 연구팀, 해수담수화 新기술 개발
cbe2017-07-31269
이지원 교수 올해 10大 과학기술 뉴스 선정
* 아래의 이미지를 클릭하면 자세한 이미지로 볼 수 있습니다. 올해 10大 과학기술 뉴스
cbe2017-07-31258
조진한 교수팀, 물과 기름을 넘나드는 다기능성 나노복합체 개발 (2014-12-11)
http://news1.kr/articles/?1996723 ​http://pubs.acs.org/doi/abs/10.1021/ja509168g 한국연구재단은 11일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조진한 교수, 박민경 석사과정, 고용민 박사과정, 김영훈 박사 등이 물과 기름을..
cbe2017-07-31454
이기봉 교수_한국화학공학회 범석논문상 수상 (2014-10-23)
이기봉 교수는 2014년 10월 23일 대전에서 개최된 한국화학공학회 가을 정기학술대회 총회에서 ‘범석논문상’을 수상하였다.‘범석논문상’은 한국화학공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에 우수한 논문을 발표한 전년도말 현재 만45세 이하의 회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공정시스템, 생물..
cbe2017-07-31582
조진한 교수팀_다층박막 기반의 압전 나노발전기 소자 구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7125927 http://news1.kr/articles/?1863010 ​ 미래창조과학부는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조진한 교수와 ..
cbe2017-07-31636
하정숙 교수팀_새로운 개념의 스트레처블 일렉트로닉스 디자인과 공정 개발
http://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adma.201402588/full http://pubs.acs.org/doi/abs/10.1021/nn503799j하정숙 교수 연구 그룹의 스트레처블 소자팀(좌측 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진상..
cbe2017-07-31734
최정규 교수팀_금속·유기 복합체 소재의 구조와 CO2 흡착성능의 상관관계 규명
http://hellodd.com/?md=news&mt=view&pid=49216 금속·유기 복합체 소재의 구조와 CO2 흡착성능의 상관관계 규명을 통해 분리막 개발의 지름길 제공- 미국 화학회가 출판하는 세계적 국제학술지 “JACS”게재 -□ 미래창조과학부는 차세대 ..
cbe2017-07-31282
이지원 교수팀_Advanced Materials와 ACS Nano 논문 게재
http://pubs.acs.org/doi/abs/10.1021/nn404325t 1. Koo Chul Kwon, Ju Hee Ryu, Jong-Hwan Lee, Eun Jung Lee, Ick Chan Kwon, Kwangmeyung Kim, and Jeewon Le..
cbe2017-07-31292
오민규 교수_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JMB 학술상 (2014-06-26)
오민규교수는 2014년 6월 26일 부산에서 개최되는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정기학술대회 총회에서 ‘JMB 학술상’을 수상한다.‘JMB 학술상’은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에서 발간하는 영문 학술지이자 Medline 등재지인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
cbe2017-07-31622
조진한 교수팀,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입자 기반 박막 구현 (2014-04-08)
http://www.yonhapnews.co.kr/it/2014/04/08/2403000000AKR20140408130600017.HTML 고려대 조진한 교수팀…메모리 분야 등 응용 가능(서울=연합뉴스) 최인영 기자 = 국내 연구진이 강유전성을 가진 바륨 티타네이트(B..
cbe2017-07-31586
강정원 교수, 미국 Fluor/Wooley Pasons 사의 기술 컨설팅 프로젝트 수주
강정원 교수(사진)가 미국의 저명 엔지니어링 회사인 Fluor/Wooley Parsons 사로부터 이산화탄소의 지중저장과 관련된 열역학 물성 측정에 대한 기술 컨설팅 프로젝트를 수주 하였다. 이산화탄소와 물의 용해도 측정은 심해저 가스 파이프라인의 누출 안전성을 보장하..
cbe2017-07-31414
미국 표준연구소(NIST)의 열역학 물성 데이터베이스 도입 계약 체결
고려대 강정원 교수 팀은 미국 표준연구소(NIST)의 TRC (Thermodynamics Research Center – 단장 Dr. Michael Frenkel, 사진)와 2014년부터 열역학 물성 데이터베이스인 TDE SOURCE Database의 국내에 도입하는 ..
cbe2017-07-31282
김중배 교수팀, 고감도 NER-LISA (NER-linked immunusorbent assay)기술 개발
김중배 교수 연구팀은 효소 고정화 및 안정화 접근 방식인 NER (nanoscale enzyme reactor) 기반 고감도 면역진단 기술을 개발했다. 면역진단 기술인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는 항체에 효소를 결합시켜 ..
cbe2017-07-31215
2014년 QS 세계대학평가에서 화공생명공학과 세계 50위 진입
영국의 대학 평가 기관 QS가 2월 25일 발표한 '2014 세계 대학 평가 학과별 순위'에서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가 세계 50위에 이름을 올렸다. 원문보기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2/26/2014022..
cbe2017-07-31873
한국생물공학회장에 고려대 김승욱 교수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김승욱 교수(55)가 25일 한국생물공학회장으로 취임했다. 생물공학회는 생물공학 관련 전문가 5000여명의 회원으로 구성돼 있으며 지난 30년간 산학연 연구협력, 학술활동 개최와 국제교류를 활발히 하고 있다. 김 교수는 이달부터 오는 12월까지..
cbe2017-07-31510
고려대, 체 원리로 이산화탄소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막 제조기술 개발
골재에서 미세한 모래를 선별해 내는 체(sieve)처럼 지구온난화의 원인인 이산화탄소만 선택적으로 분리해 내는 제올라이트 분리막 제조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이산화탄소포집및처리연구개발센터는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최정규 교수 ..
cbe2017-07-31432